티스토리 뷰
목차
서울시는 올해 1월 1일부터 10월 31일 사이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최대 2년간 월 30만 원, 총 7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‘자녀 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’ 2차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 신청 마감일은 2025년 10월 31일이며, 신청은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.
지원 대상
구분 | 내용 |
출산 기간 | 2025.1.1. ~ 2025.10.31. 사이 출산 |
주택 요건 | 서울 소재 전세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(환산액 포함) 130만 원 이하 임차 주택 거주 |
소득 기준 | 가구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 |
제외 대상 | SH·LH 등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|
기타 | 재외국민, 등록외국인도 신청 가능 |
지원 내용
- 월 최대 30만 원, 2년간 지원 (총 720만 원)
- 추가 출산 시 출산아 1명당 1년 연장, 최대 4년까지 지원 가능
- 다태아 출산 시 쌍태아 1년·삼태아 이상 2년 연장
지원 기간 연장 예시
- 첫째 출산(기본 2년) + 둘째 출산(1년 연장) + 셋째 출산(1년 연장) → 총 4년
- 쌍태아 출산(기본 2년 + 1년 연장)
- 삼태아 이상 출산(기본 2년 + 2년 연장)
월세·반전세 가구 신청 가능 기준
반전세 및 월세 가구는 전세 보증금 월세 환산액 + 월세액이 13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.
예시: 전세 1억 5천만 원 + 월세 60만 원 → 환산액(60만 원) + 월세(60만 원) = 총 120만 원 → 신청 가능
신청 방법
- 신청 기간: 2025년 8월 1일 ~ 10월 31일
- 신청 방법: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 온라인 신청
- 제출 서류: 출산 증빙서류, 주거계약서, 전세대출이자·월세 납부 내역 등
지원금 지급 방식
- 기존 6개월 단위 분할 지급 → 증빙 가능한 개월 수만큼 한 번에 지급으로 개선
- 선지출·사후 지급 방식
- 출생월 ~ 지급 직전월까지 전세대출이자·월세 납부 내역 증빙
- 월별 실제 지출금액 기준으로 지급
유의사항
- 지원 기간 중 주택 매입·타 시도 이주 시 지원 중단
- 청약 당첨 시 입주(잔금 납부) 전까지 무주택 조건 유지해야 함
- 소득 검증은 행정정보공동이용을 통해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으로 확인
신청 절차
마무리
이번 서울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은 아이를 키우는 가정의 주거비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주는 정책입니다. 특히 전·월세 거주 가구에 월 30만 원씩 지원되기 때문에, 주거 안정과 양육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자격 요건에 해당한다면 반드시 10월 31일까지 신청해 서울에서 안정적인 육아 환경을 누리시길 바랍니다.
함께 보면 좋은 정보글
디딤돌 운전면허지원센터 [+ 취약층 원스톱 지원]
운전면허가 꼭 필요한데, 교육비와 시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? ‘디딤돌 운전면허지원센터’는 장애인, 국가유공상이자, 기초생활수급자, 한부모가족 등 교통약자들이 운전면허를
서울청년문화패스 2차 모집 [+ 연 20만 원 문화관람비 지원 (20~23세)]
서울시는 20~23세 청년에게 연간 20만 원 상당의 문화관람비를 지급하는 ‘서울청년문화패스’ 사업의 2차 모집을 실시합니다. 연극·뮤지컬·클래식·국악·무용·전시 등 다양한 공연·전시를 예
공공배달앱 2만 원 이상 두번만 주문 [+1만 원 쿠폰 지급]
7월 25일부터 공공배달앱 소비쿠폰 지급조건 완화! 2만 원 이상 2회만 주문하면 1만 원 쿠폰 지급 + 발급 횟수 제한도 폐지! 신청 방법과 참여 앱까지 정리했습니다. 빠르게 확인하려면 아래 버튼
top1.powersun1.com